
부산 시내버스가 13년 만에 파업에 들어갔지만 운행 재개 여부는 여전히 알수 없는 상황이다.
파업 이후에도 노사는 만나고 있지만 아직 접점을 찾지 못해 자칫 파업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날부터 마라톤협상을 이어오던 부산 시내버스 노사는 28일 오전 2시 40분께 협상장이던 부산 지방노동위원회 조정 회의에서 최종 결렬 선언을 했다.
노조는 예고한 대로 이날 오전 4시 20분 첫차를 시작으로 147개 노선의 2천500여대 시내버스의 운행을 전면 중단했다.
노사는 파업 이후 부산시버스운송사업조합 사무실에서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협상의 핵심 쟁점은 임금 인상 폭이다.
노사는 지난해 대법원판결이 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과 '임금인상'을 핵심 쟁점으로 두고 협상을 진행했다.
애초 노조는 임금 8.2% 인상을 주장했지만, 사측은 연 472억원의 추가 인건비 부담이 발생한다고 맞서왔다.
지방노동위원회는 조정안으로 임금 8.78%를 제시했지만, 사측은 난색을 보였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정기적 수당 등을 포함하면 임금 포함 두 자릿수 인상이 되는 것인데 노조 주장에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부산 시내버스는 2007년 5월부터 준공영제로 운영돼 오면서 버스업체의 손실 폭만큼 부산시가 예산으로 보전해주고 있다.
적자보전액은 매년 증가 추세인데 지난해 2천800억여원, 올해는 3천200억여원으로 예상된다.
임금 인상으로 올해 적자보전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관계자는 "시내버스 적자보전액을 메우는 부산시 예산은 곧 시민 혈세인데 노사가 신중하게 협상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사측과 긴밀하게 협의하며 협상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