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구의회 내 갑질 공방, 불공정 임용 논란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부 의원과 의회 사무국 간부 간 갈등이 배경으로 지목되면서 내부에서는 자중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 잡음은 지난 2월 북구의회 일부 의원들이 사무국 직원들에게 갑질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 되면서 시작됐다.
당시 북구의회 사무국 공무원직장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6명의 의원이 동일한 내용을 양식만 바꿔 반복 요청했다"며 "직원들을 괴롭히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의원 측은 "정당한 자료 요청"이라고 반박했다.
이후 법적 검토에서도 갑질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이 내려졌지만, 곧바로 김형수 의원의 욕설과 사적 지시 의혹이 불거졌다.
지난해 김 의원이 전반기 의장 재임 당시 사무국 직원에게 폭언과 개인 심부름을 시켰다는 내용의 피해 신고가 있었던 사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이를 갑질로 판단해 '사과 및 출석정지 30일' 징계안을 윤리특별위원회에 권고했다.
의회 안팎에서는 이 같은 사안들이 의원과 사무국 간 힘겨루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사무국 간부 A씨와 일부 의원 간의 대립을 핵심으로 지목하는 견해도 있다.
의원들은 A씨가 사무국 직원들을 동원해 의정활동에 협력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A씨 측은 의원들의 부당한 압박에 사무국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명목으로 신경전을 벌여왔다는 것이다.
최근 A씨를 둘러싼 임용 공정성 논란이 일어 내홍을 키우기도 했다.
A씨가 인사위원으로 참여한 뒤 사무국장 임용시험에 응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의원들은 "채용에 관여한 인물이 시험에 응시한 것 자체가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A씨는 시험 전에 인사위원회에서 배제돼 절차상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다.
A씨를 탐탁지 않게 여긴 일부 의원들이 논란을 의도적으로 증폭시킨 것 아니냐는 불만도 일각에서는 나왔다.
A씨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14년간 전문위원으로서 북구의회의 잘못된 관행을 바꾸고 개혁해왔던 그동안의 노력들이 폄훼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앞으로도 의회 소속 공무원의 본분을 지키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계속되는 내홍에 의회 내부에서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