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과 인구감소 등으로 유례없는 위기를 겪는 가운데, 지속 가능한 골목상권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박필순 의원과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은 지난 17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광주 골목상권 활성화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에 나선 박진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광주전남제주지역본부장과 홍석기 광주서구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장은 광주·서구 지역 골목형 상점가 지정 효과를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서구는 온누리가맹점 등록 홍보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골목형 상점가 지정에 집중해 왔고, 그 결과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수가 전년 대비 312% 증가, 유효가맹점 수도 400%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전국 골목형 상점가의 약 44.4%(580곳)가 광주에 집중돼 있으며, 평균 17.3%의 매출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강수훈 의원은 산업건설위원회가 실시한 ‘광주광역시 소상공인 활성화를 위한 지원시책 효능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소상공인 68.6%는 골목형 상점가 지정이 매출 향상에 도움이 됐다고 밝힌 반면 80.5%는 골목상권 관리 전담 인력이 필요하고, 75.1%는 현장형 골목상권 지원센터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이민철 광산구도시재생공동체센터장은 “골목상권은 단순한 소상공인의 생계기반을 넘어 동네문화가 형성되는 도시의 기반시설”이라며 “개별 점포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발전 과제”라고 진단했다.
윤현석 컬쳐네트워크 대표는 “콘텐츠 부재, 디지털 전환 지체, 상권 중심 도시계획 미흡이 구조적 한계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상권매니지먼트 체계를 구축해 로컬콘텐츠 기반 상권 브랜딩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박필순 의원은 “이제는 개별 상인 단위 대응을 넘어 상권을 단위로 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다”며 “골목상권이 단순 소비 장소를 넘어 로컬콘텐츠 산업의 무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례 개정 등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은 이와 관련 △골목상권 진흥센터 설립 △광주형 브랜드상권 육성 △상권별 정책 연계 및 협력 거버넌스 등을 위해 ‘광주형 골목상권 진흥TF’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