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각종 선거 당내 경선에서 유권자 표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는 지적에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경선 규정을 손봐야 한다는 요구가 호남지역에서 나온다.
민주당은 조기 대선 이후 다양한 여론을 수렴해 호남에서는 통상 50%인 권리당원 반영 비율을 낮추고, 대신 비 권리당원(일반 유권자) 반영 비율을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27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주요 선거 당내 경선에서 민주당 핵심 지지 기반인 호남의 투표율이 저조한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는 권리당원 결집세가 경선 결과를 좌우하는 '조직 선거' 흐름이 이어지면서 전반적으로 관심도를 낮췄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당에 대한 지지와 일반 유권자의 관심을 높이려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선 규칙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 전국 순회 경선 등 조기 대선 정국에서도 내년 전국동시지방선거를 대비한 지역별 권리당원 확보 작업은 물밑에서 치열하게 진행 중이다.
호남에서는 민주당 공천을 받으면 본선에서도 당선할 확률이 커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일찌감치 경선 통과를 위해 오는 8월 31일 마감인 권리당원 확보에 총력을 쏟고 있다.
자신을 지지하는 권리당원을 많이 확보한 후보가 당선되는 구조가 차츰 굳어지면서 일반 지역 유권자의 민심은 반영되지 않고, 나아가 왜곡될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특히 최근 전남 담양군수 재선거에서 승리한 조국혁신당이 지지세를 넓히고 있어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호남에서 민주당 경선 통과는 곧 당선이라는 공식도 흔들리게 됐다.
'독점 체제'를 위협받는 민주당으로서는 공정한 과정을 거쳐 경쟁력 후보를 선출해야 할 당위를 안게 된 셈이다.
민주당에 대한 호남 민심이 예전 같지 않고, 지역민의 실망감 근저에는 앞선 여러 선거 과정에서 누적된 후보 선출에 대한 불만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권리당원 위주의 경선은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낳기도 한다.
권리당원 확보량이 사실상 당락을 좌우하다 보니, 단체장이나 지방의원 등은 갖가지 인사·사업 수주 청탁 등에 시달리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지역, 특히 호남에서는 권리당원 비율을 줄이고 일반 유권자 비중을 늘리는 방식으로 경선 규칙을 변경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최근 간담회에서 "경선 권리당원 비율 반영 부분은 당 대표 시절부터 고민을 많이 했다"며 "절대 우세지역, 절대 열세지역, 중립지역 등 이렇게 3가지로 나눠서 당원 반영 비율에 차등을 두도록 당에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정가는 "호남권 민주당 경선에서 권리당원 반영 비율이 줄어들면 실제 유권자의 선택권이 박탈되는 조직 선거의 폐해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며 "실력 있는 정치 신인들이 진입 가능성을 높이고 투표율도 높일 수 있어, 호남 선거에서는 정말 필요한 개혁이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