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가 취임 100일을 맞아 경제 타운홀 미팅을 열어 도민과 직접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27일 오후 2시 전남도청 4층 왕인실에서 강위원 부지사 주재로 열린 경제타운홀 미팅 '바란'은 '전남경제를 위한 발안', '내 삶의 변화를 위한 바람', '내가 바란 전남의 미래'를 주제로 이어졌다.
이 자리는 지난 9월24일 강 부지사 취임 100일을 맞아 주민의 의견을 듣겠다는 취지로 마련돼 타운홀미팅 형식의 '청 (聽)책 대동회'로 기획됐다.
도민 100여 명이 참석해 1인당 3분씩 ▲경제 ▲복지 ▲청소년 문제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책 제안 등이 이어졌다.
부지사가 단독으로 정책 반영을 하겠다는 취지로 지역 주민을 모아 공식 자리를 마련한 것은 전남도 개청 이래 처음 일이며 매우 이례적이어서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정치적 행보가 아니냐는 뒷말도 나오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강 부지사는 행사 시작 전 "지사 주관 하에 이런 자리가 진행돼야 익숙한 데, 부임 100일만에 이런 일을 하니 취지를 궁금해하고 내년이 지방선거 정치의 계절이다 보니 행사와 관련해 필요 이상의 상상을 하는 것 같다"며 "물리적으로 만남 요청에 모두 응하는 게 불가능하고, 사적 밀담이 아닌 공적 토론을 하고 싶어 마련한 자리"라고 설명했다.
이날 미팅 자리에는 천일염, 조선업, 도 산하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도민부터 일반 도민까지 다양한 제안을 쏟아냈으며 강 부지사는 도민 한 명, 한 명과 소통하며 제안 반영 가능성 등과 관련한 의견을 나누며 제안들을 수렴했다.
강 부지사는 모두 발언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전남에 오기 전 공적 실적으로 행정을 바로 세우고 역할을 충실히 하라고 당부했다. 순수하게 도민만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공직자들은 배석 시키지 않았다”며“ 이 행사는 李 대통령과 100년 미래 구축을 위해 다수의 집단지성이 관철될 수 있도록 시범행사 정도로 이해하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또 “오늘 발췌된 의견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반영 가능한지 묻고, 지사에게도 보고 하겠다”면서 “정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일이 있고, 전남도 아니고 중앙부처에 건의할 일도 있을테니 의견 수렴 결과에 대한 답변을 알리고, 두 달에 1번, 정례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실제 강 부지사는 이날 도민들의 다양한 제안과 관련해 소통하고 도와 중앙정부에 의견 전달을 약속하며 제안들을 청취했다.
강 부지사는 전남도 경제부지사 낙점 전부터 '친명(친 이재명계)' 핵심 인사로 꼽히며 중앙 정부와의 소통으로 지역 현안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감을 모은 바 있다.